[쉽게 배우는 채식 영양학] 왠지 식물식이 두려운 사람들에게

2021. 10. 25. 20:00채식생활백서/피플 | 라이프

 

쉽게 배우는 채식 영양학 칼럼 1편
자연식물식 의사 이의철

 

세상이 정말 변하려는 모양이다. 지난 11년간 진료실에서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자연식물식을 해야 한다고 입이 아플 정도로 상담을 하고, 강연, 칼럼, 방송 출연 등을 통해 건강한 식사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는데,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변화를 느낄 수는 없었다.

하지만, 2021년 뭔가 근본적으로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2021년 2월에 내가 「조금씩 천천히 자연식물식」이라는 책을 출간한 탓도 있겠지만, 그와 상관없이 교육계를 중심으로 채식에 대한 강연 요청이 쇄도하기 시작했다. 교육계뿐만 아니라 한살림과 같은 친환경 협동조합에서도 보다 진지하게, 본격적으로 채식에 대한 강좌와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해 앞으로의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기대를 갖게 만들었다.

과거엔 채식을 단지 건강을 위한 다양한 실천들 중 하나 정도로 대했지만, 올해부터는 기후 위기 시대를 살아갈 우리들의 필수적인 고민거리로서 채식 의제를 대하는 듯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완전채식(vegan diet) 혹은 자연식물식(Wholefood, plant-based diet; WFPB diet)과 관련하여 잘못된 영양정보들로 인해 건강을 해치진 않을까 막연한 불안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기후 위기를 완화하기 위해, 동물들에 대한 학대를 줄이기 위해, 만성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식단에서 고기, 생선, 달걀, 우유 등 동물성 식품을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면서도 이런 불안감으로 인해 첫발을 내딛지 못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각종 방송과 신문, 인터넷 매체에서는 동물성 단백질을 꼭 먹어야 하고, 탄수화물을 많이 먹어서 뚱뚱해지고, 당뇨병이 걸리고, 체중감량을 하려면 탄수화물을 줄이고, 닭가슴살이나 달걀을 꼭 챙겨 먹어야 하고, 채식을 하면 칼슘이나 철분, 비타민B12, 비타민D 등의 필수 영양소가 결핍되기 쉽다는 이야기들이 넘쳐나니 불안해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비정상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은 단지 기우에 불과하다. 물론 건강하지 못한 방식으로 채식을 하면 건강을 망칠 수 있다. 하지만, 건강한 방식으로 채식을 하면, 즉 자연식물식에 가깝게 식사를 하면, 동물성 식품을 전혀 먹지 않더라도 전혀 문제가 될 것이 없다. 오히려 동물성 식품을 먹으면서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다양한 건강 문제들이 사라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나는 지난 11년간 동물성 식품을 먹지 않았으며, 탄수화물 중심의 식단을 유지해오고 있다. 그럼에도 식단을 바꾸기 전보다 체중이 10kg가량 빠져 체질량지수는 20수준이 됐고, 그 체중이 10년 넘게 유지되고 있다. 고등학교 시절 몸무게로 되돌아가서 40대 중반을 맞이하고 있다. 혈압과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혈색소 등 모든 건강 관련 지표는 정상 범위에 있다.

 

건강한 채식, 즉 자연식물식은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의 칼로리 비율이 대략 80:10:10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탄수화물이 비만의 적, 다이어트의 적이라는 이야기가 상식처럼 자리 잡은 상황에서 탄수화물을 칼로리의 80% 정도가 되도록 식단을 구성하라는 것인가? 그렇다.

80%를 목표로 건강한 탄수화물을 먹으면 자연스럽게 단백질과 지방도 각각 칼로리의 10% 가량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불리 먹었는데도 살이 빠지고,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간수치, 신장기능 수치 등이 개선되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탄수화물을 칼로리의 80% 가량 되도록 먹는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선뜻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의무교육 과정에서 이런 개념을 배운 적이 없고, 음식을 먹으면서 칼로리를 기반으로 영양학적인 고려를 한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 기본적인 영양학 지식들만 습득하면 아주 쉽게 이해하고, 아주 쉽게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쉽게 배우는 채식 영양학’ 칼럼에서 영양학과 관련된 아주 기초적인 개념부터 채식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까지 하나하나 소개할 예정이다. 이 칼럼들만 잘 따라온다면 잘못된 영양 정보에 현혹되지 않고, 기후 위기를 위해, 동물권을 위해, 건강을 위해 식물성 식품 중심의 식단을 평생 건강하게 실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행히도, 인간과 동물과 지구를 위한 식단은 완벽하게 일치한다. 지금 채식을 고민하고 있다면 아주 훌륭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 훌륭한 고민이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이 칼럼이 도움을 줄 것이다.

* 본 칼럼 내용은 외부 필자의 개인 의견으로, 채식한끼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다루었으면 하는 콘텐츠가 있거나 직접 콘텐츠 제작자로 참여하고 싶으신 분은 채식한끼로 연락 주세요. (eskwon@beyondnext.net)

* 채식한끼 블로그의 새로운 포스트는 매주 월, 수에 찾아옵니다:)

 


 

 


생명과 환경을 지키는 채식 식품 보러가기! 

 

 

채식한끼

맛있고 즐거운 채식, 채식한끼부터 시작해요!

www.hanggi.kr

 

더 많은 콘텐츠는 채식한끼 앱에서! ▼

 

 

앱 다운로드 가기🔼

 

앱 다운로드 가기🔼

 

 

 

Copyright 2021. 채식한끼. All rights reserved